ASIT; Advanced Systematic Inventive Thinking 의 창의적 문제해결 사고기법. 

 

  1. 분할 (Division)
  2. 대칭파괴 (Breaking Symmetry)
  3. 제거 (Removal)

1. 분할(Divide and Conquer)전략 : 하나의 구성요소를 선택하여 그것을 여러 개의 부분으로 나누고, 이렇게 나누어진 부분들을 시간 및 공간적으로 새롭게 구성하거나 재배치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기법.

주어진 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전체 문제를 작은 문제들로 분할한 후 각각을 해결하고, 이를 통합하여 전체 문제를 해결하는 전략.

 

예를 들어, 식빵을 통째로 먹기는 어려우나 썰어서 먹으면 먹기 쉬워진다.

로마가 분할하였던 통치 기법. 큰 나라를 한번에 통치하기는 어려우나 지역별 분할을 통하여 통치가 가능하게 했던 것.

 

개인 차원의 어려운 일 -> 나누어 집중력있게 작은 요소들을 해결 -> 복잡했던 큰 문제 해결의 결과

 

문제 해결의 순서 :

1단계 - 문제의 세계를 정리한다.

2단계 - 분할, 대칭파괴, 제거 기법을 적용할 준비를 한다.

3단계 - 분할, 대칭파괴, 제거 기법을 적용한다.

4단계 - 지금까지 떠올린 아이디어의 핵심을 하나의 문장으로 정리한다.

5단계 - 이 아이디어를 하나의 문장 3-5줄로 구체화 시킨다.

 

2. 대칭파괴 (Breaking Symmetry) 전략 : 일반적으로 사물을 바라볼 때 안정감을 주는 대칭을 고려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러한대칭을 파괴함으로써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

 

ASIT에서 고려하는 대칭의 종류는
사물대칭 : 사물 내의 모든 위치에서 동일한 가치가 존재한다는 것.

예) 자동차의 색깔의 경우 전체가 동일한 색으로 칠하여 져 있는 경우에는 사물대칭에 해당하나 부분적으로 다른 색이 칠해져 있는 경우에는 사물대칭에 위배된다고 볼 수 있다.

 

시간대칭 : 시간이 지나도 그 사물이 가지고 있는 가치가 변하지 않는 것.

예) 성인의 키는 몇년이 지나도 변하지 않는다. 이러한 경우 시간대칭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반면, 어린 아이의 키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하게 되는데 이는 시간대칭에 위배된다고 볼 수 있다.

 

그룹대칭 : 같은 형태를 가진 사물들의 그룹이 동일한 특성을 소유한다는 것.

자동차의 바퀴의 경우 4개의 같은 형태를 가진 사물 그룹이 동일한 특성을 소유하고 있다. 그러나 트랙터의 경우 앞 바퀴과 뒷 바퀴의 크기가 다르므로 이에 위배된다고 볼 수 있다.

 

대칭파괴의 예

 어느 동물원에서 하마의 숫자가 점점 줄어들었습니다. 조사해 본 결과 그 원인은 하마가 생존하는 진흙의 온도가 하마에게 맞지 않기 때문임을 알게 되었습니다. (문제 발생과 원인 분석) 하마에게 가장 적합한 진흙의 온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18, 21, 25도 등 매주 진흙의 온도를 다르게 가열하여 하마의 반응을 관찰하였습니다. (문제해결 시도) 그러나 말을 할 수 없는 하마는 적정온도를 사람처럼 알려주지 못했습니다. 하마가 생활하기에 가장 적합한 진흙의 온도를 알아내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1단계 : 문제의 세계를 정리한다.

  • 문제요소 : 하마, 진흙
  • 주변요소 : 공기, 음식

2단계 : 대칭기법을 적용하기 위한 준비를 한다.

  • 대칭 파괴 기법을 적용할 구성요소를 선택한다.
  • 대상 구성요소 : 진흙 (진흙의 대상구성요소 : 온도, 깊이, 점착성, 색깔)

3단계 : 대칭파괴 기법을 적용한다.

  • 대상구성요소 중 하나를 선택한다. (온도) 그리고 대상구성요소가 다양한 다른 장소에서 또는 다양한 다른 시간에서 다른 속성 값을 갖는다고 하면 어떻게 될까?
    (장소마다 온도를 다르게 해준다면?)

4단계 : 지금까지 떠올린 아이디어의 핵심을 하나의 문장으로 정리한다.

  • 장소에 따라서 진흙의 온도를 각각 다르게 한다.

5단계 : 이 아이디어를 3-5개의 문장으로 구체화한다.

  • 여러군데의 진흙을 각각 다른 온도, 즉 18도, 21도, 25도까지 달리 가열한다. 하마들은 자기들이 좋아하는 온도의 진흙으로 옮겨갈 것이다. 비록 하마가 말을 할 수는 없지만 좋아하는 적정온도는 이렇게 해서 알 수 있다.
 OO(하마의 개체 수)  OOO(하마의 개체 수)  O(하마의 개체 수)
 18도  21도  25도

 

3. 제거 (Removal)전략 : 문제요소 중 한개 또는 그 이상의 요소를 제거함으로써 해결책을 찾는 기법.

제거의 예 : 헬리콥터의 문제

 

 비행기가 비상사태로 추락할 위기에 놓인 경우 조종사는 조종석에 가까이에 있는 탈출 버튼을 눌러 위로 튀어 올라 비행기를 포기하고 낙하산으로 탈출합니다. 그러나 헬리콥터 조종사는 위에서 회전하는 날개 때문에 불가능합니다. 어떻게 하면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까요?

1단계 : 문제의 세계를 정리한다.

  • 문제요소 : 조종사, 회전하는 날개
  • 주변요소 : 헬리콥터 몸체, 엔진, 공기

2단계 : 제거기법을 적용하기 위한 준비를 한다.

제거할 한개의 구성요소를 선택한다. (조종사, 헬리콥터의 날개가 있을 경우 날개를 선택)

 

3단계 : 제거기법을 이용한다.

선택된 구성요소(회전하는 날개)가 문제세계에서 제거되는 것을 생가해 본다.

" 회전하는 날개가 없어진다면?"

 

4단계 : 지금까지 떠올린 생각을 하나의 문장으로 정리한다.

헬리콥터의 조종사가 위로 튀어오르기 전에 회전하는 날개가 먼저 제거된다.

 

5단계 : 이 아이디어를 3-5개의 문장으로 정리한다.

조종사가 탈출을 결심했을 때에는 이미 헬리콥터가 더 이상 정상적으로 운행하지 못할 때다. 따라서 날개는 더 이상 필요가 없다. 조종사가 탈출 버튼을 누르면 조종사가 위로 튀어 오르기 전에 회전하는 날개가 먼저 제거되도록 한다.

 

 

'경제 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객에 편안함을 제공하라  (3) 2023.11.21
BCG 매트릭스  (0) 2023.11.16
5 forces  (0) 2023.11.16
TRIZ의 창의적 생각방법  (0) 2023.11.16
통찰 2 - 문제해결을 위한 통찰  (0) 2023.11.1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