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바라밀이란?


육바라밀은 보시, 지계, 인욕, 정진, 선정, 반야, 여섯을 말합니다

1. 보시 (布施 : 남을 위해 조건없이 베풀고 욕심내지 않는 것)

보시에는 세 종류가 있으니 재시(財施), 법시(法施), 무외시(無畏施)이다.
구하러 온 이를 보면 가지고 있는 물건을 능력에 따라 베풀어 주어 스스로는 인색함을 버리고 상대방에게는 기쁨을 얻게 해주는 재보시, 위급한 환란과 공포에 ?기는 이가 있으면 자기의 능력에 따라 두려움없는 안락한 마음을 갖게 해주는 무외시, 법을 구하는 이가 있으면 자기가 아는 대로 방편을 설명해 주되 명예나 공경을 바라지 말고 오직 나와 남이 함께 이로워 마침내 깨닫게 해주는 법보시가 있다.

재보시 할 때는 헐뜯거나 비방함이 없어야 하고 미워하고 질투함이 없어야 하며 겸손하게 자기를 낮추는 마음으로 내생을 구하지 않고 해야 한다. 밥을 보시하므로써 장수하고 재주가 뛰어나며 묘한 상호와 안락과 용맹을 갖추게 되고, 마실 것을 보시하므로써 모든일이 잘 돼 온갖 이익과 즐거움을 갖추게 되며, 옷을 보시하므로써 부끄러워하고 죄스러워하는 마음을 갖게 되어 피부가 금빛같이 깨끗하게 되며, 향과 꽃을 보시하므로써 깨끗한 계와 지식과 삼매를 얻어 거룩함을 갖춘다.

무재(無財)의 칠보시(七布施)

자안시(慈眼施) 자비에 가득찬 상냥한 눈빛으로 대한다.
화안시(和顔施) 부드러운 얼굴에 미소지어 기쁘게 한다.
애어시(愛語施) 위안이 되는 부드러운 말을 한다.
사신시(捨身施) 몸으로 도와준다.
방사시(房舍施) 잠자리를 제공한다.
상좌시(床坐施) 남에게 자리를 양보한다.
심려시(心慮施) 마음으로 위로한다.

법보시의 가치에 대해 금강경에서는 제이십사 복지무비분(福智無比分:복과 지혜를 비교할 수 없다)을 통해 [어떤 사람이 삼천대천세계에서 제일 큰 산인 수미산왕만한 칠보덩어리를 보시하였다 하더라도, 다른 어떤 사람이 반야바라밀경에서 네 구절의 게송만이라도 읽고 외우고 남을 위해 연설해 주었다면 앞의 복덕으로는 백분의 일에도 미치지 못하고 백천만억분의 일에도 미치지 못하며 숫자가 있는대로 다 모아서 비교하더라도 미치지 못한다.]고 했다.
석가모니 부처님이 사라쌍수 사이에서 입멸하시려고하자 하늘의 뭇 신들이 달려와서 갖가지 꽃을 뿌리며 마지막 공양을 올리자 [이 숲의 신들이 때아닌 꽃으로 내게 공양하는 것은 여래를 공양하는 것이 아니다. 사람이 능히 법을 받아서 행하는 자를 이름하여 여래를 공양하는 것]이라고 하셨다.
<달마관심론>에서도 향을 피운다는 것은 세간의 형상있는 향이 아니라 무위정법의 향이니 온갖 더러움을 물리치고 무명의 악업을 끊어서 모두 소멸케 하는 것이다. 바른 법의 향에 다섯가지가 있으니
첫째, 모든 악을 끊고 선을 닦는 계향
둘째, 바른 바탕을 깊이 믿어서 물러날 마음이 없는 정향
셋째, 몸과 마음을 안팎에서 잘 관찰하는 혜향
넷째, 온갖 무명을 제거하는 해탈향
다섯째, 느끼고 살핌이 항상 밝아 걸림없이 통달하는 해탈지견향이다.

일반적으로 부처님께 올리는 등, 향, 차, 꽃, 과일, 쌀 또한 법을 상징한다해서 육법공양이라 한다.
등(반야지혜) 법의 실다운 이치에 계합한 최상의 지혜인 반야를 상징
향(해탈) 번뇌의 속박을 벗어나 자유자재한 경계에 이르는 해탈을 상징
차(감로열반) 불사약으로서의 감로를 상징하고 무명의 생사를 초월해 불생불멸의 법을 체 득한 경지인 열반을 상징
꽃(보살만행) 성불을 목적으로 수행하는 육바라밀 등의 행업인 보살의 만행을 상징
과일(보리증과) 불교 최상 최고의 이상인 불타정각의 지혜 곧 불과를 상징
쌀(법희선열미) 법을 듣고 환희한 마음을 내고 선정에서 얻은 법의 맛을 상징

<유마경>에서는 보시는 보살의 정토라 했는데, 보시는 부유한 사람만의 전유물이 아니다. 보시할 것이 없을 때 남이 보시하는 것을 보고 함께 기뻐한 공덕만으로도 복이 된다고 했다.
<화엄경>에서도 보살은 중생에게 모든 것을 기꺼이 베풀어 주되 후회하지 아니하고 과보를 바라지 아니하며 명예를 얻고자 하지 아니하고 재리를 탐해서는 안된다고 했듯이 삼륜이 청정해야 한다.
첫째, 시혜자는 베풀어주되 우쭐대거나 과보를 바래서는 안되고
둘째, 수혜자는 베품을 받되 비굴해서는 안되고 정당한 목적에 사용해야 하며
셋째, 보시물은 청정해야 한다.

2. 지계 (持戒 : 부처님의 계율을 지키며 올바르게 생활하는 것)

초기불교 (婬盜殺妄)
대승불교 (殺盜婬妄)

재가불자의 오계는 근본적으로 해서는 안되는 성계(性戒)인 살도음망(殺盜婬妄)과, 그 자체는 선악이 아니지만 악이 수반되는 차계(遮戒)인 음주(飮酒)가 있다.
십중대계(十重大戒)는 오계에 재가, 출가 보살의 허물을 말하지 말라, 자신을 칭찬하고 남을 헐뜯지 말라, 인색하게 탐내지 말라, 성내지 말라, 삼보를 비방하지 말라는 오계를 더한 것이다.


3. 인욕 (忍辱 :참기 어려운 것을 참아내며 남이 하기 힘든 선행을 하는것)

<수진천자경>에 보살은 4가지 수행을 하기 때문에 인욕의 힘을 얻어 마음에 노여움이 없기 마련이다.
첫째, 모든 이를 대할 때 부모가 그 자식을 사랑하는 것 같이 하고 또한 자신과 다름없게 한다.
둘째, 치거나 찢기는 일의 고통을 당해도 본래 몸이 공함을 생각해 걱정하지 않는다.
셋째, 온갖 것이 공함을 깨달아 온갖 소견을 떠난다.
넷째, 자신이 행한 악에 대해서는 항상 스스로 책망해 뉘우치고 남의 행동에 대해서는 지각(知覺)하지 않는다.

耐忍 해를 당하고도 잘 참는다.
安忍 참는 것 뿐만 아니라 기꺼이 받아들인다.
諦忍 당당하게 받아들인다.

4. 정진 (精進 : 수행에 게으르지 않고 끊임없이 노력하는 것)

<보살본행경>에 [모든 좋은 일은 정진에 의해 일어나는데 집에 있는 이가 정진하면 의식이 풍족해지고 사업이 번창할 것이요, 출가한 이가 정진하면 도법을 성취하여 마침내 부처의 경지에 이른다]고 했다.

<아함경>에 이억이라는 비구가 밤낮으로 정진해도 해탈을 얻기 어려워 부처님께 여쭈었다.
“사문의 생활은 너무 어렵습니다. 저는 이제 속인이 될까 합니다.”
“너는 집에 있을 때 무엇을 했느냐.”
“거문고를 즐겼습니다.”
“그렇다면 줄이 팽팽해야 소리가 잘 나더냐.”
“아닙니다.”
“그러면 느슨해야 잘 나더냐.”
“아닙니다.”
“이 일도 너무 서두르면 장난이 되고 너무 게으르면 삿된 소견에 빠진다. 만일 중도를 맞추는 것이 최상의 수행이니 이렇게 해야만 한다.”고 했다.

악을 피하고 선을 행하는 사정진(事精進)
일념도 놓치지 않고 용맹정진하는 이정진(理精進)

5. 선정 (禪定:어지러운 마음을 가라앉히고 정신을 맑게 통일하는 것)

선은 범어 드야나를 음사한 선나의 줄임말로써 의역하면 마음을 어떤 대상에 집중시켜 자세히 사유한다 하여 사유수(思惟修)라 하고 고요히 생각한다 하여 정려라 하며 악을 버리는 행위라 하여 ?惡이라고도 하고 온갖 공덕이 축적된다고 하여 공덕총림이라고도 한다.
선정은 번뇌를 가라앉혀야 하는데 108번뇌란 육근이 호(好:좋다),오(惡:싫다),평(平:좋지도 싫지도 않다)는 생각으로 락수(樂受), 고수(苦受), 불고불락수(不苦不樂受)가 삼세(三世)에 걸쳐 일어난다는 것이다.

6. 반야 (般若,智慧 : 선정에 의해 일체 모든 것을 깨닫는 것)

마음을 등지고 객관현상을 따라 다니는 범부의 망령된 집착과 어리석음을 깨뜨린 지혜가 반야다. 그래서 중생으로 하여금 객관경계를 버리고 마음을 관하여 본래 내가 공함을 깨닫게 되는 것이 곧 반야이다.

- 출처 : 대불련 교화 자료중에서...

'하루 삶'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려 - 상대방의 입장에서 생각하는 것 , 행동하는 것 (옮긴 글)  (1) 2024.01.08
일상의 루틴 만들기  (0) 2023.11.22
화안시 - 가진 것 없이 줄 수 있는 것 , 보시  (1) 2023.11.20
통찰  (0) 2023.11.16
청소  (0) 2023.10.20

+ Recent posts